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정책

2024년 노인복지 - 서울시 어르신복지 혁신

by VItamin0522 2024. 10. 13.
반응형

맞춤형 일자리: 활기찬 노후를 위한 맞춤형 일자리 창출

서울시는 2024년을 맞이하며 노인복지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가속화됨에 따라 어르신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제공이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중장년층의 경험과 역량을 활용한 보람일자리어르신일자리 프로그램을 통해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돕고 있습니다.

노인복지
노인복지

일자리 확대 계획

서울시는 공공부문에서 약 8만 4천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사회적 경험과 전문성을 지닌 중장년층의 사회 참여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3,107명의 중장년이 학교와 복지시설 등에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며 보람을 느꼈습니다. 또한, 어르신 맞춤형 돌봄 서비스, 시니어 안전 모니터링 등의 다양한 공익활동형 일자리도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건강한 노후: 어르신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한 종합 돌봄 서비스

2024년 서울시는 건강한 노후를 위해 사회적 고립과 질병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르신들을 위한 촘촘한 돌봄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약 33만 명의 독거어르신이 있으며, 이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독거 어르신을 위한 통합 돌봄 시스템

서울시는 361개 기관에 분산되어 있던 독거어르신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서비스의 중복이나 누락을 방지하고, 개별 어르신의 필요에 맞는 돌봄을 제공합니다. 또한, 지역사회 내 다양한 돌봄 자원과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어르신들이 체계적인 보건·복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살기 편한 환경: 어르신을 위한 주거 및 생활환경 개선

서울시는 어르신들이 편안하게 살 수 있는 도시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복지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치매 등 노인성 질환자를 위한 요양 시설 확충과 노인 지원 주택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3년까지 공공노인요양시설을 17개소로 확대하고, 어르신의 주거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인지원주택을 설치할 계획입니다.

노인 요양시설 확충

공립 노인요양시설은 어르신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가족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서울시는 2024년까지 6개의 새로운 요양시설을 신축하고, 기존 시설도 현대화하여 편안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요양시설 내에서는 치매 맞춤형 케어를 통해 어르신들이 안락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활기찬 여가문화: 어르신들의 사회 참여와 세대 간 소통

서울시는 어르신들이 활기찬 여가문화를 즐기며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종묘광장 공원과 탑골공원 주변에 어르신들을 위한 특화된 공간을 조성하여, 이곳이 세대 간 소통과 교류의 장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경로당의 활성화

서울시는 경로당을 지역 주민과 소통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로당은 어르신들의 모임 공간을 넘어 지역사회의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로당 내에서 여가 프로그램, 영화 관람 등의 활동을 통해 어르신들이 활기차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어르신 복지혁신 서울복지포털 바로가기

 

어르신복지혁신

 

wis.seoul.go.kr

 

FAQ

  • Q1: 맞춤형 일자리에 지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맞춤형 일자리는 서울시 시니어 클럽 및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자격 요건에 따라 다양한 일자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Q2: 독거 어르신 돌봄 서비스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A: 독거 어르신 돌봄 서비스는 거주하는 지역의 노인복지관이나 재가노인지원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Q3: 노인 지원 주택은 어떤 혜택이 있나요?
    A: 노인 지원 주택은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며, 입주 어르신에게는 의료, 건강 관리, 커뮤니티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 Q4: 어르신 주·야간 보호시설은 어떻게 이용할 수 있나요?
    A: 주·야간 보호시설은 지역 보건소나 복지관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자치구별로 설치된 시설에서 보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Q5: 어르신 복지 정책의 향후 계획은 무엇인가요?
    A: 2024년 서울시는 맞춤형 일자리, 건강한 노후, 살기 편한 환경 조성 등 노인복지 전반에 걸친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서울 디딤돌소득 자세히 알아보기 - 신청방법

 

서울 디딤돌소득 자세히 알아보기 - 신청방법

디딤돌소득이란?서울디딤돌소득은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제도로, 기존의 안심소득에서 발전하여 시민 공모와 투표를 통해 새롭게 재탄생한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은 지

vitamin-abcd.tistory.com

 

반응형